본문 바로가기
운동 건강

러닝 페이스란? 러너라면 알아야 할 페이스 개념과 조절 방법

by 안밖강남 2025. 4. 4.
반응형

러닝을 할 때 "페이스(Pace)"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. 페이스는 러너의 속도를 의미하며, 효율적인 달리기를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러닝 페이스의 의미, 조절 방법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러닝 페이스란?

러닝 페이스는 1km 또는 1마일을 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합니다. 일반적으로 분:초/km 또는 분:초/마일로 표시합니다.

예를 들어

  • 5:10 페이스 = 1km를 5분 10초에 달리는 속도
  • 6:30 페이스 = 1km를 6분 30초에 달리는 속도

숫자가 낮을수록 속도가 빠르고, 숫자가 높을수록 속도가 느립니다.

러닝 페이스의 중요성

① 체력 조절 페이스를 적절히 조절하면 체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거리까지 완주할 수 있습니다.

② 목표 설정 페이스를 알면 기록 단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10km를 50분 내에 완주하려면 5:00/km 페이스를 유지해야 합니다.

③ 부상 방지 너무 빠른 페이스로 달리면 근육 피로와 부상 위험이 커지므로, 적절한 페이스 유지가 중요합니다.

러닝 페이스 조절 방법

① 워밍업 후 본 페이스 유지 처음부터 빠르게 달리면 체력이 금방 소진됩니다. 첫 1~2km는 천천히 달려 몸을 풀고 점진적으로 속도를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.

② 일정한 페이스 유지 러닝 중 속도가 급격히 변하면 체력 소모가 커집니다. 초보자는 음악의 BPM(비트)이나 스마트워치를 참고하여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.

③ 페이스 조절 훈련

  • 롱런(Long Run): 느린 페이스로 오랜 시간 달리는 훈련 (예: 6:30/km로 10km 이상 달리기)
  • 템포런(Tempo Run): 목표 레이스 페이스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20~40분 달리기 (예: 목표 5:00/km → 4:50/km로 달리기)
  • 인터벌 트레이닝: 빠른 페이스와 느린 페이스를 번갈아 반복하는 훈련 (예: 1km를 4:30/km로 달리고, 500m를 6:30/km로 회복)

자신의 적정 페이스 찾기

  1. 대화가 가능한 속도: 6:00~7:00/km → 초보자에게 적합
  2. 편안한 러닝 속도: 5:00~6:00/km → 일반적인 러닝 속도
  3. 빠른 레이스 속도: 4:00~5:00/km → 기록 단축을 위한 페이스

자신의 체력과 목표에 맞는 적절한 페이스를 찾아 러닝을 즐기세요!

마무리

러닝 페이스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것은 기록 향상, 체력 유지, 부상 방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. 스마트워치나 러닝 앱을 활용해 자신의 페이스를 체크하고 꾸준히 훈련하면 효율적인 달리기가 가능합니다.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