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운동 건강

기 주짓수와 노기 주짓수의 차이점 공통점

by 안밖강남 2024. 8. 20.
반응형

주짓수는 유도에서 파생되어 브라질에서 발전한 무술로 주짓수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"기 주짓수"와 "노기 주짓수"라는 용어를 자주 들어보았을 것입니다. 이 두 가지 스타일은 훈련 방식과 전략에서 차이가 있으며,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와 노기 주짓수의 차이점과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
1. 기 주짓수란?

기(도복) 주짓수는 전통적인 브라질리안 주짓수 스타일로, 도복(기)을 착용하고 훈련하거나 시합을 치르는 방식입니다. 도복은 두꺼운 면 소재로 제작된 상의와 하의, 벨트로 구성되며, 도복을 잡고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제압하는 기술이 중요합니다.

  • 도복의 역할: 도복을 사용해 상대방의 옷깃이나 소매, 바지 등을 잡아 상대를 제압하거나, 서브미션(항복)을 유도하는 기술들이 많이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도복을 이용해 상대의 목을 조르는 초크(choke) 기술이 있습니다.
  • 기술적 다양성: 기 주짓수에서는 도복을 잡고 사용하는 기술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, 전술적으로 더 복잡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기술들이 발달되어 있습니다.
  • 훈련의 장점: 기 주짓수는 상대방의 도복을 잡고 제어하는 힘과 기술을 연습하기 때문에, 잡기(grip) 힘이 강화되고, 전술적 사고력이 향상됩니다. 또한, 도복을 입는 것이 상대방의 움직임을 더디게 만들어, 기술을 정밀하게 연습할 수 있습니다.

2. 노기 주짓수란?

노기(No-Gi) 주짓수도복 없이 훈련하거나 시합을 하는 스타일로, 티셔츠나 래쉬가드, 쇼츠를 착용하고 진행됩니다. 노기에서는 도복을 잡아 상대를 제어하는 기술 대신,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상대를 조종합니다.

  • 기술의 차이점: 노기 주짓수에서는 도복이 없기 때문에 상대를 잡고 통제하는 방식이 다릅니다. 따라서 클린치, 언더훅, 오버훅 등의 레슬링 기반의 기술들이 많이 사용됩니다. 또한, 상대를 조르는 초크 기술이나 관절을 공격하는 서브미션 기술이 더 빠르고 직접적으로 이루어집니다.
  • 빠른 템포: 노기 주짓수는 도복이 없어 상대의 움직임을 더 빠르게 할 수 있어, 시합이나 훈련의 템포가 기 주짓수에 비해 훨씬 빠릅니다. 이로 인해 순간적인 반응 속도와 민첩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  • 훈련의 장점: 노기 주짓수는 도복이 없기 때문에, 더 현실적인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. 주짓수를 통해 종합격투기(MMA)를 준비하는 선수들이나, 더 빠른 경기 스타일을 선호하는 수련자들에게 적합합니다.

3. 기와 노기 주짓수의 공통점과 차이점

  • 공통점: 기와 노기 주짓수는 모두 브라질리안 주짓수의 기본 원리와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. 상대의 힘을 이용해 제압하거나, 서브미션을 통해 상대를 항복시키는 것이 주된 목표입니다. 두 스타일 모두 몸의 균형과 포지셔닝, 기술적인 능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  • 차이점: 기 주짓수는 도복을 사용하는 전략적이고 기술적인 요소가 더 강조되는 반면, 노기 주짓수는 더 빠르고, 직접적인 움직임과 민첩성이 요구됩니다. 도복의 유무에 따라 사용하는 기술과 전략이 달라지기 때문에, 두 스타일을 모두 연습하면 주짓수 실력을 더욱 다각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.

4. 결론: 기와 노기, 둘 다 매력적인 주짓수 스타일

기 주짓수노기 주짓수는 각각의 장점과 매력을 가지고 있어, 어떤 스타일을 선택하느냐는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두 스타일 모두 주짓수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, 많은 수련자들이 두 가지를 병행하여 훈련하기도 합니다.

 

처음 주짓수를 시작하는 분이라면, 두 가지 스타일을 모두 체험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. 기 주짓수는 더 전략적이고 기술적인 면을 강조하며, 노기 주짓수는 더 빠르고 역동적인 훈련을 제공합니다. 두 스타일 모두 주짓수의 깊이 있는 매력을 느끼게 해줄 것입니다.

 

각자의 목적에 맞게 수련 하시면 됩니다. 감사합니다.

반응형